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함께 배우고 사랑을 나누며 꿈이 자라는 광주우산초등학교
함께 배우고 사랑을 나누며 꿈이 자라는 광주우산초등학교
함께 배우고 사랑을 나누며 꿈이 자라는 광주우산초등학교
글자크기
크게
중간
작게
프린트

광주우산초등학교 학교 역사 개관

개요

본교는 광주광역시 북구 서방로 63번길 67에 위치한 공립초등학교이다. 1980년 3월 1일 효동국민학교에서 분리되어 15학급 설립 인가를 받아, 1981년 5월 6일 개교하여 20학급으로 편성 운영하였고 1990년에는 67(1)학급 규모의 큰 학교였지만 현재는 12(1)학급 규모의 도심 속 작은 학교이다.

교명의 유래

1914년 뒷산이 와우(臥牛) 형국이라 하여 우산(牛山)리로 하였다. 우산동은 각화마을에서 흘러온 서방천과 잣고개에서 내려온 두암 시냇물을 받아 농사를 짓고 경양역을 기반으로 한 역촌이었다.
1910년대 담양쪽으로 신작로가 나면서 북동 방면의 관문으로 발전하여 오늘날 동문로를 따라 상가들이 즐비하게 형성되어 있다. 두암천을 경계로 남쪽 소산 언덕배기는 오래된 가옥과 미로형 샛길로 구성되어 있다. 잿모실(치동리) 너머 섬동들은 택지로 개발되어 신흥 주택지구로 단독주택과 아파트가 건립되었다.
담양 사람들이 버스에 싣고 온 채소 보자기가 펼쳐지면서 형성된 말바우 시장은 이곳 주민들의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터가 되고 있다.
이 지역에 학교가 설립되어 「광주우산초등학교」로 이름 지어졌다.

학교 상징

교표

의미소나무를 모티브함. 소나무 기둥은 학생, 학부모, 교사를 함께하는 모습을 담았고 소나무의 잎은 무지개를 담아 미래와 세계로 뻗어 나가는 우산어린이를 표현함. 테두리의 원은 끝없이 나아갈 광주우산초등학교의 밝은 미래를 상징하고자 함.

우산초Si 최종

광주우산초등학교 로고

상징
  • 교화교화(校花)
    철쭉 (사랑 · 열정)
  • 교화교목(校木)
    소나무 (늘푸른꿈)
  • 교색교색(校色)
    녹색 (평화 · 희망)
  • 상징동물상징동물
    황소 (성실 · 정직)

교가

교가재생
  • 재생버튼
  • 일시정지버튼
  • 정지버튼

와우골 새싹들
김항성, 민병진, 신동열, 조태희 작사/곡
와우골 푸르른 숲속에는 새싹들이 자라납니다.
초록잎의 이슬방울 큰 꿈을 품고있죠
소나기 찬바람 몰아쳐도 배움으로 자라납니다.
온누리에 촛불되어 사랑을 나누려고
날로 새로워라 즐거운 마음으로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의 우산이 되어주자
와우골 정다운 숲속에는 희망들이 자라납니다.
꿈을 꾸는 우리들의 행복한 광주 우산초

학교 상징물 변경 전후 비교

  • 변경전

    교 목

    가이즈카향나무
    가이즈카향나무

    교 표

    교 가

  • 변경후

    교 목

    소나무
    소나무변경이유외래수종 교목으로 인함

    교 표

    변경이유욱일기 형상 교표로 인함.

    교 가

    변경이유선율 오류로 인함.

광주광역시교육청 「2019 교육현장 친일잔재 조사 및 청산 사업」 추진 과정에서 본교의 학교 상징물인 교목, 교표, 교가가 친일잔재로 확인되어 학생, 교사, 학부모 등 교육구성원의 교목, 교표, 교가 변경에 대한 요구를 수렴하여 일제 잔재를 청산함으로써 역사의식을 고취하고, 교육공동체 구성원의 일체감을 조성하며 모교에 대한 자긍심을 함양하고자 함.

TOP